부수리 연구소

(CLI + PMI) 거시경제 매크로 분석을 통한 투자 방법 본문

투자 도구

(CLI + PMI) 거시경제 매크로 분석을 통한 투자 방법

부수리 연구소 2024. 9. 10. 14:43

안녕하세요 부수리입니다.

 

경제의 선행성을 띄는 지표들은 상당히 많은데요,

백테스트를 통한 투자 전략 수립을 위해서는 트레이딩뷰에서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어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트레이딩뷰에서 CLI와 PMI 지표를 합성한 투자 전략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먼저 해당 지표가 무엇인지 짚고 넘어가시죠.

 

1. Composite Leading Indicators (CLI)

**종합선행지수(CLI)**는 경제 활동의 전환점을 예측하는 지표로, 여러 개별 선행 지표들을 종합하여 만든 지수입니다. CLI는 경제가 경기 확장이나 경기 침체의 전환점에 도달하기 전에 그 징후를 나타내며, 경제 활동의 변화를 미리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특징:

  • 목적: 경제 전체의 경기 변동을 예측하고, 경제가 확장 또는 수축 국면에 들어가기 전에 신호를 제공.
  • 구성 지표: CLI는 제조업 주문량, 주가, 소비자 신뢰도, 건축 허가, 신규 주택 건설, 생산량 등 여러 선행 경제 지표를 종합한 것.
  • 해석:
    • 100 이상: 경제가 장기 평균보다 빠르게 성장할 가능성.
    • 100 이하: 경제가 둔화되거나 침체될 가능성.
    CLI의 수치는 장기 평균(보통 100)을 기준으로 설정되며, 수치가 증가하면 경제 성장 가능성이 커지고, 감소하면 경제 둔화 가능성이 커짐.
  • 장점: 경제의 전반적인 흐름을 예측하는 데 유용하며, 여러 지표를 종합해 신뢰성 있는 결과를 제공.
  • 제한: 특정 산업이나 부문보다는 전체 경제에 대한 전망을 제공하므로, 세부적인 경제 활동을 알기엔 다소 한정적일 수 있음.

2. Purchasing Managers' Index (PMI)

**구매관리자지수(PMI)**는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경기 상태를 측정하는 지표로, 구매 관리자들이 작성한 설문을 바탕으로 한 종합 지수입니다. PMI는 기업 활동의 현재 상태와 미래 전망에 대해 구체적인 통찰을 제공합니다.

특징:

  • 목적: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경기 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경제 활동의 변화를 추적.
  • 구성 요소: PMI는 생산, 신규 주문, 재고, 고용, 공급업체 배송시간 등 다섯 가지 주요 지표에 대한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산출.
    • 제조업 PMI: 제조업의 생산과 경기 상태를 측정.
    • 서비스업 PMI: 서비스업의 경기를 측정.
  • 해석:
    • 50 이상: 제조업 또는 서비스업이 확장 국면에 있음을 나타냄.
    • 50 이하: 경기 둔화 또는 축소를 의미.
    PMI는 50을 기준으로 확장(50 이상)과 축소(50 이하)를 나누며, 그 수치가 높을수록 경제 활동이 더 활발함을 의미.
  • 장점: 제조업 및 서비스업의 세부 활동에 대한 실시간 데이터를 제공하여, 특정 산업의 현황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음.
  • 제한: 설문조사에 의한 주관적인 응답이기 때문에 때로는 과장되거나 축소된 결과가 나올 수 있음.

CLI와 PMI의 비교

지표CLI (Composite Leading Indicators)PMI (Purchasing Managers' Index)

목적 경제 전체의 경기 변동 예측 제조업 및 서비스업의 경기 상태를 측정
데이터 출처 다양한 경제 지표(생산량, 주문량, 주가, 소비자 신뢰도 등) 구매 관리자 설문조사 기반의 데이터(생산, 신규 주문, 재고 등)
해석 기준 100을 기준으로 경기 확장(100 이상) 또는 경기 둔화(100 이하) 50을 기준으로 경기 확장(50 이상) 또는 축소(50 이하)
적용 범위 전체 경제를 포괄 제조업 또는 서비스업에 국한
주기 월간 또는 분기 월간
활용도 거시경제 전망을 위해 활용 특정 산업(제조업, 서비스업) 내 활동 변화 추적

 

이제 트레이딩뷰에서 두 데이터를 가져와 요리해보죠.

레시피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월봉 기준으로(지표가 월 1회 갱신되므로)

2. 기준 값 계산 : (PMI + (CLI * 2 - 150)) / 2 + 50

3. 기준 값에 5 이동평균선과 10 이동평균선 계산

4. 5 이평선이 10 이평선 위에 있으면 매수 고려, 반대의 경우 매도 고려

 

이동평균선의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를 기준으로 매수 / 매도 전략을 구현해 보았습니다.

QQQ를 대상으로 했을 때 승률 70%로 나쁘지 않아 보입니다. 다만, 바이앤홀드에 비해 수익률이 매우 저조해보이네요. 

 

 

저는 해당 전략을 매도의 기준으로 삼아보려 합니다.

매수는 기술, 매도는 예술이라는 말이 있죠.

저의 블로그에서는 매수에 대한 여러가지 기술을 다뤄가고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특히, 저점 매수 기술에 대해 다루었는데요

본 전략을 매도 시점 수립에 사용할 수 있어 보입니다.

 

5일 이평 < 10일 이평의 상황은 CLI와 PMI 지표를 고려했을때 분명한 경기 침체 신호로 볼 수있습니다.

즉, 딱 어떤 타점에 매도해야한다는 정보를 제공한다기보다는

" 경기침체가 오고있으니 매도를 고려해야겠다 "

" 지금 A종목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니, 해당 종목을 매도하여 리밸런싱 해야겠다 "

정도의 흐름으로 사용하면 어떨까요?

 

정확하게 매수와 매도 타점 모두를 제공받고, 그대로 했을때 돈을 벌 수 있다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저는 트레이딩뷰와 자동매매 시스템을 활용해 이를 구현하고자 밤낮 가리지 않고 연구해왔습니다.

그러나 아직까지 그런 황금알을 낳는 거위는 찾지 못했습니다.

다만, 편하고 효율적인 투자 방법을 조금씩 찾아가고 있을 뿐입니다.

 

 

 

부수리연구소에서는 편하고, 효율적인 투자 방법을 365일 연구합니다.

 

좋아요는 큰 힘이 됩니다 ^^